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숙취2

05. 왜 술을 마시면 토하고 싶을까? 우리 머릿속에는 뇌하수체라는 부위가 있다. 뇌하수체의 후엽에서 분비되는 펩티드 호르몬(Peptide Hormone) 중에는 항이뇨호르몬이 있다. 말 그대로 이뇨 작용을 억제하는 호르몬이다. 항이뇨호르몬은 다양한 작용을 하는데, 성관계 시 분비가 촉진되면서 상호 유대감을 증대시키는 역할도 한다. 남성에게는 다른 남성에 대한 적대감도 키운다. 이 호르몬을 아르기닌 바소프레신(Arginine Vasopressin)이라 부른다. 아르기닌 바소프레신은 혈액을 타고 신장으로 가서 수분을 재흡수하게 한다. 그로 인해 소변을 농축시키고 소변량은 줄어든다. 체액의 삼투 농도가 높아졌을 때 분비가 촉진된다. 술에 들어 있는 알코올은 아르기닌 바소프레신 배출을 억제해 이뇨 작용을 일으킨다. 우리가 물을 적게 마시거나 더위에.. 2020. 6. 14.
03. 술의 세기는 100% 유전자로 결정된다. 어드바이스 아사베 신이치 지치의과대학 부속 사이타마의료센터 전 교수 아세트알데히드를 빨리 분해하는 사람은 술이 세다. ‘술은 마실수록 세진다.’ 학생 시절, 직장 시절을 통틀어 술자리에서 선배와 상사들로부터 가장 자주 듣는 소리일 것이다. 이런 근거 없는 신화(?)를 믿고 억지로 술을 마시다가 과음의 후유증으로 고생한 사람이 한둘이 아니다. 필자는 실제로 잦은 술자리를 가지면서 술이 세진 편이지만, 지인들 가운데 술을 마신 후 매번 힘들어할 뿐 전혀 세지지 않는 사람도 있다. 술이 센 사람과 약한 사람은 어떻게 결정되는 것일까. 지치의과대학 부속 사이타마의료센터의 간 전문의인 아사베 신이치 씨에게 물어보았다. 술의 세기는 100%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술을 마셨을 때 불쾌감을 일으키는 주범은.. 2020.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