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정·생활·요리/<기초부터 배우는 홍차>

04. 홍차의 종류에 따른 찻잎과 찻빛

by BOOKCAST 2022. 8. 26.
반응형

 


 

 

홍차의 개성인 찻빛, 향, 맛은 찻잎의 종류뿐만 아니라 생육 환경이나 수확기에 따라서도 변하여 같은 찻잎이라도 매우 섬세하게 분류된다.


인도

다르질링 퍼스트 플러시(Darjeeling first flush)
▶ 오렌지 찻빛과 꽃 향이 특징

 

 

 

상쾌한 자극과 개운한 떫은맛이 강하다. 머스캣과 같은 달콤함과 푸른 사과 같은 향을 풍긴다. 찻빛은 싱싱한 연한 오렌지색이고, 찻잎도 초록색을 간직하고 있다.


다르질링 세컨드 플러시(Darjeeling second flush)
▶ 맛과 향이 가장 강한 최고의 맛

 

 

 

퍼스트 플러시보다 향이 강하다. 찻빛도 제법 진하고 맛은 부드럽다. 맛, 향, 찻빛이 최고의 균형을 이룬다.


다르질링 오텀널(Darjeeling autumnal)
▶ 강한 떫은맛과 뚜렷한 개성

 

 


감칠맛이 도는 떫은맛과 강한 개성을 띤다. 향이 다소 약하지만 찻빛은 매우 깊고 진하다. 향미의 개성이 매우 강하여 밀크티용으로 인기가 높다.


닐기리
▶ 사용하기에 무난한, 스탠더드한 찻잎

 

 


찻빛은 투명하고 떫은맛이 거의 없다. 향도 매우 평이하여 밀크티든, 티 블렌드든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뚜렷한 개성이 없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아삼 OP
▶ 부드러운 맛의 비밀은 골든 팁

 

 


골든 팁(golden tip)이라는 새싹이 풍부할수록 맛도 순해져 입안에서 녹는 듯한 담백함을 느낄 수 있다. 향은 스모키하고, 찻빛은 진한 홍색이다.


아삼 CTC
▶ 차이와 티백용으로 인기가 높아 수요가 증가

 

 


깊고 붉은 찻빛을 띠고 맛은 가볍고 산뜻하면서 떫은맛이 약해 보기보다 부드럽다. 짧게 우려도 찻빛이 진하게 나와 티백용으로도 좋다.

 

스리랑카

누와라엘리야
▶ 향이 깊이가 있고 짙은 것이 특징

 

 


꽃과 과실 같은 달콤한 향과 풀을 연상시키는 푸르름이 혼합된 인상적인 향이 특징. 떫은맛이 강하고, 찻빛은 연하면서 밝은 황금빛을 띤다.


캔디
▶ 찻빛이 변하지 않아 아이스티에 적당

 

 


찻빛은 오렌지색 계열의 깊고 아름다운 적색이다. 차게 해도 찻빛이 탁해지지 않아 아이스티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맛과 향이 약하여 베리에이션티에도 적합하다.


우바
▶ 강한 떫은맛에 달콤한 향

 

 


찻잎은 떫은맛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무게감이 있는 떫은맛에 장미와 같이 달콤하면서도 이국적인 향이 있다. 찻빛은 루비처럼 진하고 붉다.


루후나
▶ 깊고 순한 맛이 매력

 

 


감칠맛이 입안을 감돌고 떫은맛이 적다. 찻빛이 진하고 향이 스모키하여 향신료와 잘 어울려 인도의 차이를 만드는 데 좋다.


딤불라
▶ 진한 찻빛에 비해 순하고 가벼운 맛

 

 


찻빛이 깊고 진한 데 비해 떫은맛이 적당하여 맛이 순하다. 향은 개성이 약하다. 오서독스 방식의 홍차로 초보자에 권할 만하다.

 

중국

기문(祁門)
▶ 붉은 찻빛, 독특한 향이 특징

 

 


떫은맛이 중간 정도로 맛이 순하다. 우롱차와 같이 벌꿀과 같은 달콤한 향을 지니고 있다. 찻빛은 깊은 적색으로 투명하고 아름답다.


정산소종(正山小種Lapsang Souchong)
▶ 강한 향을 간직한 유서 깊은 중국 홍차. 랍상소총이라고도 한다.

 

 


강한 스모키 향과 홍차 같지 않은 독특한 향미가 큰 특징이다. 치즈, 훈제 연어와 함께 곁들이면 향의 개성과 음식의 개성이 잘 어울린다.

 

그 밖의 산지

자바(Java)
▶ 티 블렌드나 아이스티에 적당

 

 


개성이 강하지 않아 홍차, 밀크티, 티 블렌드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깊고 붉은 찻빛은 발색이 좋아 아이스티를 만들어도 아름답다.


케냐(Kenya)
▶ 찻빛이 짙은 데 비해 떫은맛이 약해 순한 찻잎

 

 


찻빛이 강하고 감칠맛이 깊게 도는 홍차. 떫은맛과 향이 약해 순하다. 밀크티를 만드는 데 적당하며, 짧게 우려내 찻빛을 조절할 수도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