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쇼핑몰 창업 전 필수사항
온라인 판매를 하기 위한 절차는 우선 사업자등록을 하고 사업자용 통장과 공인인증서 발급을 한 후에 해당은행에서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을 발급받고 통신판매업을 신청하면 된다.
순서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은 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어떻게 보면 위 내용과 같이 기본적인 서류만 준비되면 시작할 수 있는 사업이 쇼핑몰 사업이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쉽게 생각하고 진입했다가 또 빠르게 폐업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조금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단계 아이템 선정, 2단계 사업계획서, 3단계 자금계획, 4단계 각종 서류 준비, 5단계 스마트스토어 가입, 6단계 스마트스토어 디자인, 7단계 상품등록, 8단계 스마트스토어 마케팅의 단계를 무한 반복하는 것이 쇼핑몰 사업이라고 보면 된다.
note
스마트스토어는 사업자등록증을 내지 않아도 개인판매자로 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판매를 위해서라면 사업자 전환이 필수다. 사업자로 전환하지 않으면 가산세 부담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사업자 등록증 발급
모든 사업자는 사업을 시작할 때 반드시 사업자등록을 하여야 한다. 사업자등록은 사업장마다 등록해야 하며 사업 개시일로부터 20일 이내에 다음의 구비서류를 갖추어 사업장 관할 세무서장에게 신청하면 된다. 위에 노트에서 확인했듯이 스마트스토어는 사업자 없이 개인판매도 가능하지만 일정 매출 이상이 되면 사업자등록 신청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사업자 등록증은 홈택스에서 가입하여 신청해도 되고, 직접 세무서를 방문하여 신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업자등록증 신청 시 유형은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법인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처음 사업자를 등록할 때 보통 간이과세자로 등록을 하게 된다.
간이과세자는 낮은 세율이 적용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매입세액에 5~30%만 공제를 받을 수 있다. 대신 2021년 간이과세자 개정으로 인해 4,800만원 이상 8,000원 미만의 매출이 발생하는 간이과세자에 한해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생겼다. 연매출 8,000만 원 미만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소규모 사업자인 경우에는 간이과세자로 등록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연매출 8,000만 원 이하면 간이과세자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는 1년에 한 번 매년 1월에 이루어진다. 세금을 내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신고는 해야 한다.
일반과세자는 10%의 세율이 적용되는 반면에 물건 등을 구입하면서 받은 매입 세금계산서 상에 부가가치세를 전액 공제받을 수 있고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다. 연간 매출액이 8,000만 원 이상인 것으로 예상되거나 간이과세가 배제되는 업종 또는 지역에서 사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과세자로 등록해야 한다.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 발급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을 설명하기 전에 에스크로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겠다. 에스크로란, 구매자의 결제대금을 제3자가 예치하고 있다가 계약에 문제가 없을 경우 판매자에게 최종적으로 돈을 지급하는 서비스이다. 안전한 거래를 위해서 중개자가 돈을 지불하는 방식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에스크로 서비스는 농협, 기업, 국민은행의 각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통신판매업 신고를 위하여 해당 은행 홈페이지에서 출력하면 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 가입을 하고 관리자 페이지에서 판매자 정보로 들어가면 은행에서 발급받지 않더라도 출력이 가능하다. 스마트스토어에 가입된 판매자라면 관리자 페이지에서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을 다운 받을 수 있다.
통신판매업 신고증 발급
온라인에서 물건을 파는 일을 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통신판매신고’를 해야 한다. 쉽게 말해서 스마트스토어, 쿠팡, 오픈마켓, 카페24 등과 같이 온라인에 상품을 판매하려는 사업자들은 필수로 통신판매업 신고를 해야 한다. 사업자등록증이 나온 후에 신청이 가능하고 업태는 도매 및 소매업, 종목은 전자상거래업을 신고해야만 통신판매업 신고가 가능하다. 만약 사업자를 이전에 개설했는데 업태와 업종이 맞지 않는다면 가까운 세무서나 홈택스에 접속하여 사업자정보 정정 신청을 해야 한다. 법인의 경우 개설 후 정정 절차가 까다로우니 처음 신청 시 가능한 업종을 모두 추가하는 것이 좋다. 통신판매업 신고증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방문해서 신청하는 방법이 있다. 온라인은 정부24 홈페이지에서 신청하고 완료 후에 방문해서 수령하면 간편하게 발급이 가능하다. 또한 오프라인 신청은 시청, 구청에서 발급이 가능하다.

'컴퓨터·IT > <기적의 스마트스토어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기획부터 철저히 하자! (2) | 2022.04.23 |
---|---|
04. 잘 팔리는 상품에는 다 이유가 있다. (1) | 2022.04.22 |
03. 스마트스토어 시작하는 방법 (1) | 2022.04.21 |
01. 나는 왜 퇴사하고 스마트스토어를 시작했는가? (1) | 2022.04.19 |
00. <기적의 스마트스토어 노하우> 연재 예고 (3) | 2022.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