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예선2

03. 노예선에서 죽어간 수많은 노예들 덕에 위생관념에 눈을 떴다. 노예선에서 죽어간 수많은 노예들 덕에 의사들은 환기의 중요성을 새삼 인식하고 위생관념에 눈을 떴다 트로터는 브룩스 호의 아프리카인 노예 관찰에 의존해 연구를 했음에도 막상 논문을 발표할 때는 서론에서 “수많은 사례”라는 표현으로 뭉뚱그렸다. 이 표현은 경험적 관찰에 의존했음을 강조함으로써 연구에 적합성을 부여하지만, “수많은 사례” 대부분이 사실 아프리카인 노예 관찰임을 숨기기 위한 방편이었다. 동료 의사들을 독자로 하는 논문을 쓰면서 트로터는 노예선 바닥의 상태가 어떻게 건강에 안 좋은 환경을 만들었는지, 자신이 그 환경을 어떻게 분석해 괴혈병의 원인, 치료법, 예방법에 대한 이론을 만들어냈는지에 대해서는 숨기는 의학용어를 사용한 것이다. 그 결과, 새로운 과학 지식의 발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아프.. 2022. 7. 14.
02. 흑인 노예들의 역사가 서리다 16세기로 접어들면서 유럽인들은 대서양 서쪽의 아메리카 대륙을 점령해나갔다. 그러면서 점차 늘어난 설탕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대서양의 마데이라제도, 카리브해의 아이티섬과 남미의 브라질을 비롯해 아메리카 지역에 사탕수수 재배 농장을 세웠다. 이 농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주로 아프리카에서 끌고 온 흑인 노예들이었다. 유럽인들은 아메리카 원주민을 붙잡아 노예로 부렸으나, 원주민들은 유럽인이 옮기는 전염병에 약해 많이 죽은 데다가 그들의 고향과 가까운 탓에 걸핏하면 도망치는 식으로 저항했다. 이에 유럽인들은 전염병에 잘 견디면서 도망칠 우려가 없는 먼 아프리카 흑인을 노예로 붙잡아 와서 부리는 방식을 택했다. 대략 1500년에서 1880년까지 최대 4천만 명의 흑인들이 노예선에 탄 채로 아프리카에서 대서양을.. 2022. 5.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