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플랫폼비즈니스3

03. 웹3의 완성, 프로토콜 비즈니스 “기존 플렛폼 비즈니스의 한계와 처방전” 프로토콜 비즈니스란? 그간 빅테크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을 플랫폼 비즈니스로 해석한다면, 웹3를 표방하는 인터넷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은 프로토콜 비즈니스로 대변된다. 한마디로 웹3의 공정한 이윤의 분배를 프로토콜 기반의 토큰을 통해서 이해관계자에게 나눠준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모바일 플랫폼 비즈니스인 우버의 공유경제 모델을 프로토콜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한 것이 라주즈라는 블록체인 기반의 앱이다. 이 모델은 운전자와 승객 간에 거래를 자체 토큰 ‘주즈’를 사용하게 하고, 라주즈는 아예 수수료를 받지 않은 채 토큰 가치를 높이면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가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주즈 토큰은 마이닝으로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가 일정 거리를 운전하면 토큰으로 보상받.. 2022. 11. 23.
04. 연결된 일자리에서 일을 찾아라. 미래에 직원이 한 명도 없는 회사를 상상해보라. 당신은 이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나도 동의한다. 기업을 인간이 고안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인간이 할 수 있고, 해야 하며, 하기를 원하는 과업 또한 항상 존재할 것이다. 게다가 이 과업들은 규칙적이지 않으며, 이질적으로 연계되기도 한다. 그런데도 대부분 회사의 목표는 종업원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빨리 직원이 없는 회사를 보게 될 것이다. 앞으로도 기업에서 많은 사람이 일하겠지만, 그들 중에 공식적인 회사 직원은 한 명도 없을 수 있다. 이 패턴은 이미 분명히 자리 잡아가고 있다. 우리는 이미 소유의 세계가 아닌 연결의 세계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많은 사람이 이를 ‘공유 경제(Sharing Economy).. 2022. 10. 9.
08. 플랫폼 바다에서 익사하지 않으려면? _홍기영 《플랫폼 승자의 법칙》 세상은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변해간다. 세계 경제는 지금 플랫폼 기업들이 거머쥐고 있다. 지난해 미국 기술주를 대표하던 FAANG(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 같은 대형 플랫폼 기업이 한국에는 왜 없는지 사람들은 안타까워한다. 카카오나 네이버 같은 우리나라 기업들은 대체 무엇 하는 거야? 하지만 한국의 플랫폼 시장이 왜 미국처럼 커지지 않는지, 그 이유를 알아야 한다. 답은 플랫폼 기업의 수익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 플랫폼 기업은 제조업과는 달라서 대부분의 수입이 광고에서 발생한다. 그래서 이용자들은 이용료를 내지 않고, 편리하고 값싼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구조가 유지되려면 플랫폼 이용자 수가 절대적으로 많아야 한다. 한 페이지에 머무는 사람이 .. 2022. 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