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IT/<노코딩 AI >

03. CEO의 역할 변화

by BOOKCAST 2022. 6. 28.
반응형
 

 

모든 직장인의 꿈은 CEO다. 신입사원으로 입사해서 대리, 과장, 부장 관리자를 거쳐 CEO가 되는 사람은 하늘이 내린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소수의 핵심 인재 중에서도 행운이 따르는 자가 CEO가 된다. CEO가 되면 부와 명예를 한꺼번에 거머쥘 수 있다. 그러나 여간한 인내력을 가지지 않고서는 큰 기업의 CEO가 되기까지 기다리기 어렵다. 그래서 대부분 직장인은 재직 중에라도 창업할 수 있는 기회를 찾는다.

AI 기술로 인한 산업 환경의 변화는 CEO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기회다. 회사 내에서 CEO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물론 창업하기에도 좋은 기회다. 이미 CEO가 된 사람도 회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AI 기술을 알아야 한다.

AI 시대의 CEO는 기존의 산업화 시대와 다른 어떤 경쟁력을 가져야 할까? 새로운 변화가 요구하는 CEO의 역량을 준비하는 자만이 CEO로서 성공할 수 있다. AI 기술로 변동성이 커진 사업 환경에서 CEO의 역량과 역할은 더 중요해지고 있다.

CEO의 말 한마디에 주가가 급락하는 시대다. 테슬라의 CEO인 일론 머스크가 비트코인으로 자동차 결제를 할 수 있다고 했다가 이를 중단한다며 말을 뒤집은 적이 있다. 암호 화폐 시장을 뒤흔든 CEO의 발언으로 테슬라의 주가는 4일 만에 약 15 퍼센트나 하락했다. 이는 CEO의 역량이 얼마나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잘 대변하는 일이었다.

CEO란 최고위직 임원으로서 기업 내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에 실질적 · 최종적 의사 결정권을 갖고, 그 책임을 지는 사람이다. 산업이 안정적일 때는 위기가 있더라도 시장 예측을 통해 준비하고 대응할 수 있다. 산업화 시대에서는 혁신에 대처하는 전략적 의사 결정 능력보다는 밀어붙이기식으로 매출을 확대하고, 정치적 협상이나 타협으로 현상을 유지하기만 해도 CEO 직무를 잘 해낼 수 있었다.


[CEO의 역할 변화]


산업의 성장과 함께 CEO의 역할도 변해왔다. 산업화 초기에는 위험에 과감하게 도전하는 유형의 창업가들이 주도했다. 성장기에는 외부 투자금을 확보해 생산 설비 확충, 인력 확대를 통해 매출을 높이는 확장형 CEO였다면 매출이 정체되는 성숙기에는 생산 및 마케팅 비용의 효율적 관리를 추진하는 관리형 CEO가 필요했다.

그러나 지금은 모든 산업에 디지털 기술이 융합되어 변혁이 일어나고 있는 전환기의 시대다. 시장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을 때 그 변화에 올라타지 못하면 생존마저 위태롭게 된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 속도는 가히 엄청나다. 서두르지 않으면 변화의 기회를 놓칠지 모른다. AI 시대에는 새로운 변화를 기회로 이용할 수 있는 전략적 안목과 의사 결정 능력이 CEO의 핵심 역량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