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빅테크 기업
트위터(Twitter)는 누구보다 NFT에 진심이고 발 빠르게 기존 사업에 NFT를 접목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트위터의 창업자 잭 도시(Jack Dorsey)부터가 암호화폐와 NFT의 열렬한 지지자입니다. 트위터는 암호화폐와 NFT 투자자들에게 필수인 SNS입니다. 새로 제작되는 NFT 정보도 트위터를 통해 가장 활발히 확산될 정도이지요.
NFT나 암호화폐 관련 트위터 계정을 살펴보면 ‘○○○.eth’처럼 아이디 끝에 ‘eth’가 붙어 있는 것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eth는 이더리움(Ethereum)의 약자입니다. 자신이 암호화폐와 NFT를 옹호하는 참여자라는 것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람들의 표현 욕구를 읽은 것일까요. 트위터는 2022년 1월 20일경 사용자들이 프로필 사진을 NFT로 설정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에 NFT 프로필 사진을 사용해도 이것이 남의 사진을 캡처한 것인지, 진짜 구매한 것인지 알 수 없었던 반면, 이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구매한 NFT 작품이라는 걸 증명할 수 있게 된 것이죠.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계정과 암호화폐 지갑을 연동시켜 지갑 속 NFT를 사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면 육각형 이미지로 표시됩니다.
그다음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한 기업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으로 유명한 메타(Meta)입니다. 2022년 3월 15일, 메타의 CEO 마크 저커버그(Mark Elliot Zuckerberg)는 NFT를 인스타그램에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022년 1월 미국의 파이낸셜 타임즈 또한 메타가 대표 서비스인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프로필에 NFT 표시 기능을 준비하고 있다고 하며, 사용자가 직접 NFT를 만들고 발행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 서비스 개발 소식까지 전했습니다. 트위터처럼 NFT를 프로필 사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와 사용자가 NFT를 쉽게 제작하고 유통할 수 있는 마켓 플레이스까지 선보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실 메타는 기존의 페이스북에서 메타로 사명을 바꾸기까지 할 정도로 메타버스에 진심인 기업입니다. 메타의 주요 개발 분야인 메타버스 서비스 ‘호라이즌’ 역시 NFT를 도입한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메타버스의 대표 기업의 하나인 메타의 행보를 지켜보는 것은 앞으로 NFT의 활용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사례가 될 것입니다.
많은 사람이 즐겨 보는 유튜브(YouTube)도 NFT를 도입한다고 밝혔습니다. 2022년 1월, 유튜브의 CEO인 수전 워치츠키(Susan Wojcicki)가 크리에이터들이 NFT와 같은 신기술로 수익을 창출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한 것입니다.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발표된 건 아니지만, 국내 라이브 인터넷 방송의 선두 기업인 아프리카TV가 2021년 BJ들의 NFT를 출시한 것으로 보아 유튜브 크리에이터나 인기 콘텐츠를 NFT화하거나, 채널 멤버십을 NFT로 전환해 크리에이터들의 채널을 구매한 시청자끼리 거래하는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 최대의 OTT 서비스 기업인 넷플릭스 역시 NFT를 사업에 접목하기 위한 고민에 들어간 것 같습니다. 2022년 1월 22일 넷플릭스는 자신들의 공식 트위터 계정에 ‘NFT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문구를 올렸습니다. 가입자 수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위해 NFT를 고려하는 걸로 보입니다.
국내 대기업
국내 시가 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는 직간접적으로 NFT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고 있습니다. 2022년 1월 삼성전자는 TV에 NFT를 감상하고 거래할 수 있는 기능을 넣는다고 밝혔습니다. ‘소유하는 NFT에서 감상하는 NFT’로의 확대가 기대되는 대목입니다. 알고 보면 삼성전자는 꽤 오래전에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를 고객에게 선보인 바 있습니다. 2019년 출시한 갤럭시S10에는 암호화폐 지갑을 넣었고, 이후 출시한 스마트폰은 해당 기능을 모두 탑재했으니까요. 또한, 삼성전자는 자회사인 투자전문회사 삼성 넥스트를 통해 NFT 게임 개발사 ‘대퍼랩스’, NFT아트 플랫폼 ‘슈퍼레어’, NFT 메타버스 플랫폼 ‘더 샌드박스’ 등 NFT 관련 기업에 투자함으로써 그간 암호화폐와 NFT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표현하고 있던 것으로 보입니다. LG전자 또한 TV에 NFT를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진행하며, 암호화폐와 NFT 사업을 위해 2022년 3월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관련 사업 목적을 문서화했습니다.
국내 빅테크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 역시 NFT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카카오는 자회사 그라운드X를 통해 2019년 자체 블록체인인 클레이튼(klaytn)을 선보이고, 2021년 7월 클립드롭스(klipdrops)라는 NFT 마켓 플레이스를 출시하는 등 네이버보다 속도감 있게 진행하는 모습입니다. 클립드롭스는 출시 6개월 만에 거래액이 약 100억 원에 이를 정도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네이버는 자회사 라인을 통해 2022년 상반기 도시(DOSI)라는 NFT 마켓 플레이스를 출시할 계획입니다. 양사 모두 메신저와 웹툰 플랫폼이라는 강력한 IP를 장착하고 있고, 카카오톡과 라인이라는 국민 메신저가 있기에 향후 이를 활용한 NFT 사업 전략이 궁금해집니다.
'경제·경영 > <저는 NFT 미술 투자가 처음인데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여전히 낯선 NFT 아트, 어떻게 시작할까? (4) | 2022.07.19 |
---|---|
04. 블록체인 세계에서의 물건 구매 NFT 구매하기 (1) | 2022.07.16 |
03. 제너러티브 아트 (0) | 2022.07.15 |
01. NFT란 무엇이며, NFT의 미래 가능성은 무엇인가요? (2) | 2022.07.13 |
00. <저는 NFT 미술 투자가 처음인데요> 연재 예고 (4) | 2022.07.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