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三十輻, 共一轂, 當其無, 有車之用. 埏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
삼십복, 공일곡, 당기무, 유거지용. 선식이위기, 당기무, 유기지용.
鑿戶牖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착호유이위실, 당기무, 유실지용. 고유지이위리, 무지이위용.
서른 개의 바큇살이 하나의 바퀴통에 모이는데, 바로 거기가 비어 있어서 수레가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찰흙을 빚어 그릇을 만드는데, 바로 거기가 비어 있어서 그릇의 쓰임이 있게 된다. 문과 창문을 내어 방을 만드는데, 그 안이 비어 있어서 방을 쓸 수 있다. 그러므로 ‘있음’으로써 편리하게 되고, ‘비어 있음’으로써 작용이 가능한 것이다.

◆
장자가 “사람들은 쓸모 있음의 쓰임만 알고 쓸모없음의 쓰임은 모른다[人皆知有用之用, 不知無用之用].”라고 했듯이, 우리는 눈에 보이는 것과 실질을 숭상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것과 쓸모없다고 여기는 텅 빈 공간의 소중함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릇은 비어 있어야 무언가를 담을 수 있고, 집도 빈 공간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단기적인 성과를 위해 실용적인 경영학과 공학 분야에만 집중 투자하면서 기초과학과 인문 예술 분야를 홀대하다 보면 곧 발전의 한계에 봉착하고 불균형 성장을 초래하게 된다.
채움과 비움, 긴장과 이완, 일과 놀이, 쓰임과 쓰이지 않음의 조화가 필요하다.
공원이 없는 아파트 숲은 얼마나 답답한가.
반응형
'인문 > <생태 위기 시대에 노자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풍속이 타락하면 (2) | 2022.04.20 |
---|---|
04. 뿌리로 돌아감 (2) | 2022.04.19 |
02. 멈추고 자제할 줄 알면 (6) | 2022.04.17 |
01. 만물은 상호관계 속에서 (2) | 2022.04.15 |
00. <생태 위기 시대에 노자 읽기> 연재 예고 (2) | 2022.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