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달 무한 수입 만들기
만약 양동이로 물을 길어 나를 때 무언가에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면 그것은 부채다. 획득이 아니라 지속적인 소유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그것 때문에 매달 돈이 나가는가? 이를 알아내려면 계산을 해봐야 한다. 좋은 차나 좋은 집을 사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그렇게 하려면 그것을 지불할 무한 수입원, 돈을 지불할 자산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 자산은 무엇일까? 그런 자산은 무엇을 생산할까? 그런 자산은 무한한 수입을 창출한다. 이 책은 그것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려줄 것이다. 무한 수입은 휴가 중이건 일하는 중이건, 잠을 자는 중이건 깨어 있는 중이건, 미국에 머무르는 중이건 해외출장 중이건 상관없이 들어오는 소득이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어떤 자산으로 무한한 소득을 창출해낼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다.
무한한 수입은 휴가 중이건 일하는 중이건,
잠을 자는 중이건 깨어 있는 중이건,
미국에 머무르는 중이건 여행 중이건 상관없이 들어오는 소득이다.
예를 들어 보유 중인 부동산을 세놓을 경우 실제로 창출되는 순익이 얼마나 되는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임대용 부동산을 운영했던 내 경험에 따르면, 대략 50%가 순익으로 남아야 한다. 월세가 1,000달러인 부동산을 임대로 놓을 경우 보험료, 세금, 수리비, 관리비 등을 모두 부담한 후에도 월 500달러 정도가 되면 월간 순임대 수입은 500달러다. 이것이 자산이다.
저작권료도 있을 수 있다. 책을 쓰거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거나 비디오 게임을 만들었을 때 나오는 돈이다. 이것도 자산이다. 이 자산에서 긍정적인 현금 흐름이 창출된다는 계산이 산출될 수 있다.
주식 배당금은 어떤가? 나는 코카콜라 주식을 보유 중이고, 여기서 정기적으로 배당금이 나온다. AT&T 주식을 소유하고 있고, 주식 배당금도 지급된다. 엑손, 버라이즌 등도 배당왕이다. 배당금이 들어오므로 이를 월 단위로 나눠야 한다. 배당금은 일반적으로 분기별로 지급되므로 3으로 나누면 된다. 아니면 그냥 연간 총배당금을 12로 나누어서 월 단위로 계산해도 된다. 여기서는 한 달에 150달러의 배당금을 받는다고 가정해보자. 이 또한 자산이며, 여기에서 현금 흐름이 나온다는 계산이 산출될 것이다.
만약 다른 사람에게 돈을 빌려줬다면? 벌고 있는 월이자 소득도 포함해야 한다. 나는 삼촌에게 돈을 빌려줬고, 삼촌은 매달 이자를 100달러씩 주고 있다. 다른 사람에 대한 대출은 자산이며, 받고 있는 이자는 현금 흐름에 추가되어야 한다.
주식으로 돈을 버는 방법에는 실제로 세 가지가 있다. 사람들은 대부분 이 가운데 하나만 알고 있다. 그것은 주가가 오르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나머지 두 가지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간단한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첫째, 사람들이 원하는 자산을 소유할 때마다 옵션 시장이 있을 수 있다. 옵션이란 그것을 사거나 팔기로 미리 합의하는 흥미로운 방법이다. 예를 들어 당신이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데, 누군가 그 부동산을 구입하고 싶다며 일정한 기간에 특정한 가격으로 그것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당신에게 제안할 수도 있다. 당신이 20만 달러에 집을 팔 생각인데, 누군가 앞으로 30일 후 언제든 20만 달러에 집을 살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싶다고 말한다. 당신의 집을 살 수 있는 선택권을 갖게 되는 대가로 당신에게 계약금 1,000달러를 지불할 것이라고 말한다. 기간이 길어질수록 더 많은 돈을 지불할 것이다.
둘째, 자산을 살 수 있는 시장이 있다면 자산을 팔 수 있는 시장도 있다. 만약 당신이 20만 달러에 어떤 집을 사고자 한다면 그에게 일정 기간에 20만 달러에 그 집을 사야 하는 의무를 부과하는 옵션을 팔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신이 부동산 소유주에게 ‘당신이 나에게 1,000달러를 주면 6개월 동안 시장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든 당신의 집을 20만 달러에 사는 것에 동의할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만약 주택 시장이 하락해 집값이 19만 달러밖에 안 된다고 해도 당신은 20만 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시장이 그대로라면 1,000달러를 가질 수 있다. 시세가 올라도 1,000달러를 가진다. 하지만 시장이 하락해도 원래 동의한 금액을 지불해야 하는 것이다.
주식 시장에서 주식을 사는 옵션도 가격을 설정해 집을 사는 옵션과 똑같다. 이를 ‘콜옵션’이라고 하며, 콜옵션 시장이 별개로 존재한다. 이 콜옵션 시장은 뒤에서 주식 임대에 대해 이야기할 때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누군가 당신에게 특정 가격에 주식을 사도록 의무를 부과하는 옵션을 ‘풋옵션’이라고 한다. 이는 당신이 집주인에게 20만 달러에 집을 사도록 의무를 부과하는 권리를 팔았던 것과 정확하게 같은 이치다. 이러한 유형의 옵션을 판매하면 단기 시세차익으로 처리된다. 이 차익은 월별 현금 흐름으로 추가되며, 수익으로 계산해야 한다.
옵션 판매로 번 돈은 보통 주식으로 번 배당금보다 조금 더 많다. 주식 배당금으로 150달러를 받는 경우 단기 시세차익(‘옵션 수익’이라고도 함)에서 200달러를 받는다고 가정해보자. 게다가 오래전에 쓴 책에서 10달러의 저작권료를 가지고 있고, 순임대 수입은 500달러다. 삼촌에게서는 매달 100달러의 이자를 받고 있으며, 매달 단기 시세차익을 얻는다. 이를 전부 합치면 한 달에 960달러다. 이를 전부 더하면 된다. 이제 매달 얼마의 무한 수입이 들어오는지 계산이 나올 것이다.
무한 수입 사례

'경제·경영 > <무한 투자의 법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부자들이 주식 시장을 이용하는 방법 (4) | 2022.06.14 |
---|---|
05. 무한 투자에서의 3대 금기사항 (1) | 2022.06.13 |
03. 금융 용어를 잘 알아야 손해 안 본다. (1) | 2022.06.11 |
02. 부자가 될 거라는 믿음이 부자를 만든다. (3) | 2022.06.10 |
01. 경제적 자유란 무엇을 뜻하는가? (2) | 2022.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