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성염증으로 무너진 삶을 다시 업그레이드 하라!
히스타민 증후군에 대한 가장 통합적이고 근본적인 접근법
히스타민 증후군은 주 저자인 김상만 원장의 20여 년 간의 임상 경험과 독학 노력이 스며들어 있으며 동료 의사들과 논의를 거쳐 완성되었다. 진료 사례를 중심으로 히스타민 증후군의 증상, 진단, 치료 및 식사요법을 담아내고 있다. 이번 개정판은 히스타민의 과잉분비를 억제하는 중요한 방어기전인 부신(Adrenal gland)과 코로나 19 시대의 면역기능강화를 위한 방법을 추가하였다.
히스타민이란?
히스타민은 우리 몸에 들어온 독소들을 빠르게 제거하기 위해 분비되는 우리 몸의 방어 수단이지만, 히스타민의 작용이 과잉되면 우리 몸을 힘들게 하는 독이라 할 수 있다. 임상에서 흔히 보는 어지럼증, 비염, 알레르기, 두드러기, 두통, 안구 충혈, 안면 홍조, 부정맥, 설사 등의 원인이 바로 히스타민 작용 과잉에 의한 히스타민 증후군일 수 있다.
히스타민 증후군은 왜 치료해야 하나요?
히스타민 증후군은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질환이다 히스타민 증후군은 이비인후과(비염), 안과(알레르기성 결막염), 피부과(피부 질환), 신경과(어지럼증, 두통, 만성 통증), 소화기내과(소화불량), 심장내과(부정맥), 정신과(불면, 공황장애), 소아청소년과 등 정말 다양한 과에서 진료하고 있다. 이것이 히스타민 증후군에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이유이다. 히스타민 증후군의 원인인 염증 반응은 만성 질환, 치매, 자폐증 등에 관련한 뇌 신경계 질환, 노화, 심지어는 암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히스타민 증후군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히스타민 증상에 대한 대증적인 약물 요법이 아닌 만성 염증을 치료하여 염증과 관련된 질환을 예방하는 데에 있다.
저자의 말
히스타민 증후군 책을 펴낸 후 많은 관심과 격려해 주신 대한기능의학회 회원분들과 고객분에게 감사드립니다. 히스타민증후군 개정판은 독자분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기존 내용의 구성을 변경하였습니다.
우리 인체에는 히스타민의 과잉분비를 억제하는 중요한 방어기전인 부신(Adrenal gland)이 있습니다. 부신에서 분비되는 코티졸(Cortisol)은 인체에서 분비하는 강력한 항염작용이 있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입니다. 개정판에는 부신을 강화시키는 방법과 더불어 코로나19시대에 히스타민 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한 면역기능강화를 위한 방법을 다루었습니다.
- 대표저자 김상만 (녹십자 아이메드 대표원장, 대한기능의학회 학술 부회장)
저자 l 대한기능의학회 히스타민 연구회
대표저자 김상만
현 녹십자 아이메드(INTEGRATIVE MEDICINE) 대표원장, 대한기능의학회 특별이사다. 30년간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주로 비만과 만성피로, 노화 방지를 전문으로 진료하였다. 인간은 태어나 활기차게 살다가 나이 들면 죽는 것, 병 없이 편안하게 살다가 죽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수많은 환자들을 진료하다 그들에게 있는 공통적인 증상들 중, 히스타민으로 인하여 생기는 증상들에 대해 연구하고 히스타민 증후군이라고 명하였다. 이 책, 히스타민 증후군을 통해 늘 피곤하지만 어떤 분과에 가서 진료를 받아야 할지 모르는 이들과 건강검진 결과 이상이 없음에도 늘 피로하다고 느끼는 이들에게 명쾌한 답과 동시에 치료 방법을 자세히 설명해 주고자 하였다. 어제와 같이 오늘도 녹십자 아이메드 진료실에서 환자를 최고의 스승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주요 경력으로 청와대 진료 자문의, 대한비만학회 부회장, 차 의과학대학교 차움 항노화센터 소장, 아주대학교 가정의학교실 주임교수, 삼성 제일병원 가정의학과 과장, 청담동 차움 항노화센터 소장, 차 의과학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교수를 역임하였다.
공동 저자: 김범택ㆍ김영상ㆍ박병진ㆍ서은경ㆍ신동혁ㆍ이상훈ㆍ최승희
김범택
아주대학교병원 가정의학교실 주임교수, 대한기능의학회 학술이사
전문 분야: 골다공증, 갱년기, 비만 클리닉, 임상 영양
김영상
분당차병원 가정의학과
전문 분야: 만성피로, 생활 습관병, 비만, 건강 증진
박병진
연세의대 임상 부교수
연세대학교 용인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신동혁
강남메이저 의원 가정의학과
전문 분야: 갱년기, 골다공증, 대사 증후군, 통합 ㆍ 기능 의학
서은경
차 의과학대학교 청담 차움 가정의학 교수
주요 경력: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이상훈
GC녹십자 아이메드 강남센터 외래진료부장, 대한기능의학회 간행위원회 간사
전문 분야: 통합기능의학, 영양치료, 피로, 비만, 항노화, 갱년기, 알레르기, 만성 소화불량
최승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연재 목차]
01. 필요하지만 너무 많으면 사람을 괴롭히는 히스타민
02. 히스타민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몸 속 어디에서 작용할까?
03. 히스타민 증후군을 진단하는 방법
04. 히스타민 증후군의 원인: 알레르기성과 비알레르기성
05. 히스타민을 분비하는 알레르기·만성염증 치료하기
06. 히스타민을 줄이는 식사법, 어떤 음식을 주의해야 할까?
07. 알르레기와 염증을 줄이는 식사요법
08. 히스타민 분비를 증가시키는 자극 피하기
09. 스테로이드, 항염제 사용으로 히스타민 작용 억제하기
10. 히스타민 증후군 치료에 영양치료가 필요한 이유
'과학·공학 > <히스타민 증후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히스타민을 분비하는 알레르기·만성염증 치료하기 (1) | 2022.02.14 |
---|---|
04. 히스타민 증후군의 원인: 알레르기성과 비알레르기성 (1) | 2022.02.13 |
03. 히스타민 증후군을 진단하는 방법 (1) | 2022.02.11 |
02. 히스타민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몸 속 어디에서 작용할까? (1) | 2022.02.10 |
01. 필요하지만 너무 많으면 사람을 괴롭히는 히스타민 (2) | 2022.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