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불멸의 성>

05. 섹스의 부활을 꿈꾸다 - <호프 스프링즈(Hope Springs)>

by BOOKCAST 2022. 11. 18.
반응형

 


 

데이빗 프랭클(David Frankel, 1959~) 감독의 영화 <호프 스프링스(Hope Springs)>는 결혼 생활 31년째인 케이가 무미건조한 부부 관계에 대한 회의를 품고 새로운 도전을 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아내 케이는 남편인 아놀드와 한 침대에서 잔 지 오래되었다. 무뚝뚝한 아놀드는 아침에는 신문을 보며 식사를 하고 귀가하면 골프 TV를 보다 잠들어 케이가 깨우면 자기 방에 돌아가는 것이 일상이다. 케이는 여전히 남편의 사랑을 그리워하다 케이블 방송에 나온 심리상담가 버닌 펠드 박사의 채널을 보게 된다. 그리고 서점에 가서 <당신이 원하는 결혼 생활을 가질 수 있다(You can have the marriage you want)>는 책을 사서 읽고 그가 운영하는 상담 캠프에 참석하려고 티켓을 구매한다. 진정한 결혼 생활을 원하는 케이와 달리 마지못해 동행하는 아놀드.

상담캠프의 일정은 1주일이고 그들이 도착한 곳에 <호프 스프링즈(Hope Springs)>라는 간판이 걸려있다. 숙소에 짐을 풀고 부부는 버닌 펠드 박사를 만난다. 케이에게 원하는 것이 무엇이냐고 묻는 박사에게 결혼 생활을 다시 하고 싶다고 대답한다. 반면에 자신은 결혼 생활에 아무 문제가 없으며 아내는 정상이 아니라는 아놀드. 버닌은 조언을 해준다.
 
두 분은 결혼 생활의 친밀감을 되돌리려고 여기에 온 것입니다그건 함께 하는 기간에 노력을 집중해서 친밀감을 길러야 합니다서로 필요로 하는 소통 방법을 찾는 겁니다결혼 생활을 재건하는 첫 걸음은 수년 동안 키워온 일종의 흉터를 떼어내는 것입니다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지만 가치 있는 일이죠.
 
에리히 프롬(Erich Seligmann Fromm, 1900~1980)은 『사랑의 기술』에서 연인들의 관계에서 그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훌륭한 재능이란 상대방에게 귀를 기울이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는 부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본다.

프롬은 “고립감에 대한 완전한 해답은 상호 인간적인 결합, 즉 사랑에 있다. 사랑은 고독한 한 존재를 다른 한 존재와 진정으로 결합하게 하며, 이로써 우리의 고립감, 그 불안의 근원지를 해소시킨다.”고 하였다. 그런데 영화에서 케이가 부부집중 상담을 받으러 가자고 하니까 아놀드는 혼자 갔다 오라고 하며 사무실에 출근하여 직장 동료에게 케이가 벗어나고 싶어 쇼를 한다고 말한다. 케이의 감정이 어떤지 무엇을 원하는가에 대해 무관심한 것이다. 케이는 버닌에게 외롭다고 털어놓는다.

케이는 버닌의 추천으로 <동성애 남자의 정상 여성을 위한 성관계 조언>이라는 책을 사서 읽으며 실습도 해본다.

버닌이 케이 부부의 성생활에 대해 자세히 질문하며 스킨쉽을 하며 같은 침대를 쓰라고 과제를 내주자 반발하는 아놀드. 분노한 케이는 밖으로 뛰쳐나간다.

아놀드는 아직 결혼 생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그래도 케이를 위해 노력하고 버닌은 그들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각자 깨달을 수 있게 과거의 회상을 유도한다. 결국 아놀드와 케이는 자신이 원하는 성적 판타지가 무엇인지 좋아하는 애무는 어떤 것인지를 고백하고 섹스리스(sexless)가 된 계기를 돌이켜 보게 된다.

한편 아놀드는 “당신은 정말 결혼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냐?”고 묻는 버닌의 말을 곰곰이 생각한다.

아놀드는 마을에서 비싼 레스토랑과 스위트룸을 예약하고 두 사람은 과거를 회상하며 즐거워하면서 몇 년 만에 관계를 가지려던 중 아놀드는 굳은 표정이 되고 그것을 본 케이는 절망한다.

일주일의 상담이 끝나고 두 사람의 일상은 원점으로 돌아온다. 케이는 전보다 더 힘들어하고 마침 옷가게를 같이 하는 친구가 여행을 떠나며 반려 고양이를 걱정하자 자신이 돌봐주겠다고 한다. 케이가 짐을 싸고 잠자리에 들었는데...망설이던 아놀드가 케이의 방으로 찾아온다. 두 사람은 기쁨으로 가득 찬 사랑을 나눈다.
다음날 케이와 아놀드는 과감한 키스를 나누는 새로운 아침을 맞게 된다.
 
영화 속에서 케이가 자신이 원하는 것은 성관계가 아니고 사랑이라고 항변한다. 그러자 섹스를 멈추게 한 것은 케이라고 말하는 아놀드. 케이의 욕망은 아놀드와 정서적인 유대를 통해 사랑을 받고 싶어 하는 것이었다. 반면에 아놀드는 케이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지 않은 것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성적 판타지를 억압했던 것으로 보인다.

버닌이 케이에게 구강성교를 선호하냐고 묻자 자신은 그게 불편했다고 대답한다. 반면에 아놀드는 구강성교를 원한다고 하면서 자신은 절정에 다다르지 못했다고 고백한다. 그는 스리섬에 대한 판타지도 갖고 있다고 털어놓는다.

케이의 행동을 통해 그녀가 성에 대한 인식이 보수적이며 성관계에 있어서는 수동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자위도 하지 않고 애무와 오랄도 남편을 위한 사랑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아놀드는 성 행위에서 만족을 느낄 수 없었다. 사랑의 행위는 뜨거운 열정 속에서 이루어질 때 기쁨이 되고 충만한 감정을 나누게 된다. 그런데 케이의 낭만적 사랑은 아놀드의 욕망과 충돌하게 되었고 그들의 결혼 생활을 무채색으로 만들었다고 보인다.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Anthony Giddens, Baron Giddens, 1938~)에 의하면 낭만적 사랑은 성적인 사랑이지만 관능의 기술은 포함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영화에서 버닌은 바로 관능의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부부 관계의 회복을 돕는 조언자의 역할이었다. 낭만적 사랑이 성적인 만족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여성은 사랑을 원하고 남성은 섹스를 원한다.’고 했지만 사랑과 섹스에 대한 감정은 남녀가 다르지 않다는 것이 여러 조사에서 나타났다.

<호프 스프링즈(Hope Springs)>는 결혼 생활에서 중요한 요소는 자신과 상대의 욕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케이와 아놀드가 오랫동안 묻어두었던 내면의 욕망을 드러내고 소통하기 시작하자 친밀감이 다시 찾아오고 그들의 결혼 생활은 새롭게 리셋되었다.
케이와 아놀드는 결혼서약을 서로를 향해 읽는다.
 
정말 지나온 것보다 더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어요.
당신을 만난 후로 내 삶이 바뀌었어요내 삶이 되었소.
 
해변에서 가족들과 함께 리마인드 웨딩(remind wedding)을 꿈꾸던 케이의 소원은 이루어졌고 엔딩 크레딧 속 장면으로 보인다.
 
섹스는 인간의 소통에 있어 가장 원초적이고 생명력을 가진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은 섹스를 통해 성적 자존감을 높이는 가운데 생의 에너지를 충전시키는 것이다. 현재 수명(壽命)이 100세를 향해 연장되는 시대에 노년의 개념도 달라지고 있다. 행복한 성생활은 건강을 지키는 동시에 장수의 비결이라고 한다.
<호프 스프링즈(Hope Springs)>는 섹스리스 부부들에게 좋은 텍스트가 되리라 생각한다.
 

호프 스프링스Hope Springs, 201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