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에세이/<겨우 존재하는 아름다운 것들>

07. 애도의 선물로 찾아온 인연

by BOOKCAST 2022. 3. 22.
반응형

 


 

아카시꽃 향기가 흥건하던 더없이 좋은 날에 아버지를 영원히 떠나보내고 나는 골방에 처박혀 보냈다. 보냈다기보다는 견디는 시간이었다. 죽음과 애도에 관한 책을 수없이 읽었지만 막상 내 앞에 닥치고 보니 속수무책이었다.

더디게 가는 시간을 견디며 아버지 사십구재까지 지내고 나서 오랜만에 아래층에 사는 언니를 만났다. 이미 늦었지만 더 늦어지면 서운해할까 봐, 그동안 아버지 장례를 치렀노라고 했다. 순간 언니의 큰 눈이 촉촉해지더니 의자를 가까이 끌어당기며 두 손으로 내 손을 가만히 감싸 안았다.
 
“…….”
“그리 큰일을 치렀구나.”
“…….”
 
볼 일을 마치고 밥때가 되어 점심을 먹고 났을 때 언니는 별일 없으면 함께 갈 데가 있다고 했다. 사고 싶은 식물이 하나 있는데 수형을 좀 봐달라며 바람도 쐴 겸 화원에 같이 가자고 했다. 식물이라는 말에 흔쾌히 따라나선 길, 차창으로 보이는 낮은 지붕의 마을과 논두렁 풍경에 마음이 곧 해사해졌다.

언니가 사고 싶었던 식물은 나 때문에 알게 되어 고맙다며 언젠가 밥까지 사며 좋아라 했던 마오리 소포라였다. 오랜 시간 요리조리 꼼꼼히 살펴서 드디어 고른 그 마오리 소포라는 우리 집에 와 있다. 두 번째로 고른 건 언니가 데려갔다.
언니의 사려 깊은 위로와 애도의 선물, 따뜻한 이야기를 품은 작은 나무, 마오리 소포라.
이제 막 돋아난 새싹처럼 자그마한 이파리가 무척이나 귀엽다. 특이하게 지그재그로 오밀조밀 자라나는 줄기는 소포라가 선(線)을 즐기는 나무라는 걸 확실하게 각인하는데, 그 지점이 바로 소포라에 유혹되는 결정적인 이유다. 소포라를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니 아버지가 과실나무 외에 유일하게 좋아하셨던 배롱나무를 닮은 듯도 하다.
 
올해 처음으로 우리 집에서 겨울을 나게 될 마오라 소포라 때문에 나는 늦가을부터 마음을 졸였다. 이야기를 품은 식물이니 더 각별한 마음이었다. 기온이 내려가면서 이파리가 누렇게 되고, 누런 이파리는 우수수 떨어지고 그나마도 줄기 하나는 우리 집 채식 지향 고양이 레오가 날름 훑어 먹어버렸다.
예민한 이 아이를 어쩐다지?

오전이면 해를 따라다니며 옮겨주고, 흐린 날에는 실내등을 켜고 선풍기로 산들바람 강속의 바람을 쏘여 주었다. 영양제도 한 피스 먹이고. 그러고 두 달쯤 지났을까.
노랑을 품은 연둣빛 싹이 나오기 시작했다.
히야! 이제 됐어. 드디어 생기를 찾았구나.
내 몸에 싱싱한 세포 하나가 생긴 것만 같았다. 내 간절한 마음에 반응해준 소포라, 그저 고마웠다.
아니지. 오히려 소포라가 나에게 고마워하지 않을까?
적절한 때를 넘겨 이미 엎질러진 물이 되지 않도록 예민하게 알아차린 내 마음결에 대해서 말이야. 식물이나 사람이나 회복하기 적절한 때를 예민하게 알아차려야 하는 법이니까.
이 엄동설한에 연둣빛 새순을 바라보는 일에 하염없이 시간을 쓰고 있다. 더불어 내 마음도 서서히 회복되어 가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