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공학/<스마트시티 에볼루션>

01. 스마트시티는 유행일까, 신문명의 시작일까?

by BOOKCAST 2022. 5. 19.
반응형

 


 


세계가 스마트시티에 열광하는 이유

세계는 왜 스마트시티에 열광할까? 스마트시티가 도시의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인구의 절반이 도시에 살고, 점점 더 많은 인구가 도시에 살 거라고 한다. 그렇게 되면 집도 부족하고, 인프라를 구축하는 비용도 많이 들게 된다. 땅이 부족한 만큼 밀도가 높아지며, 도시의 불경제는 증가한다. 집값은 비싸지고, 교통 체증이 발생하며, 공해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도시문제에는 현재 활용되는 재택근무제도, 자율주행차, 공유경제 등이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세계 각국은 앨빈 토플러의 ‘제3의 물결’에 즈음하여 정보통신망 구축에 노력을 기울였다. 20세기 말 정보통신 고속도로망이 설치됐고, 막대한 비용의 인프라를 활용하기 위한 요구가 빗발쳤다. 스마트시티가 부상하게 된 배경이다. 돈을 들였으니 이를 만회할 서비스를 만들자는 거였다. 도시문제를 해결할 대안인 스마트시티가 구축 초기에 서비스 개발에 집중한 이유이기도 하다. 미래의 청사진을 내세우며 시민의 세금으로 막대한 정보통신 인프라에 투자했는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가 없었던 것이다.

세계 각국은 시민 체감형 서비스를 추진한다. 주요 어젠다가 기반시설 구축에서 체감형 서비스 개발로 이어진다. 이 시기에 수립된 한국의 유시티 계획을 보면, 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한 버스 정보 시스템, 교통사고 분석 시스템, 교통신호 연동 시스템과 같은 지능형 교통 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ytem, ITS) 등을 통한 스마트 교통 서비스가 일반화된다. 또한 CCTV 시스템 같은 스마트 안전 관리 서비스가 최고의 아이템이 되며, 범죄율 감소 효과가 나타난다. 행정 정보화나 기업 정보화가 지속된다.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에너지 서비스나 공기질 측정 서비스, 주차 공유 서비스 등을 지속적으로 제시한다. 시민이 일상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총력을 기울인다. 아시아는 정부 주도형으로, 유럽은 정부・민간기업 협력형으로, 미국은 민간기업 주도형으로 국가 전략을 다양하게 구사한다.

스마트시티는 도시문제 해결이라는 목적에 걸맞게 기능 면에서나 가치 면에서 이전보다 좋은 도시를 목표로 한다. 깨끗한 공기, 맑은 물, 밝은 햇빛을 위한 에코지능이 작동한다. 시설지능이 있어 안전하고, 현실과 가상을 이어주는 디지털 트윈으로 관리한다. 저비용 고효율 운영 시스템이다. 센서로 시민이 주도하는 민주주의를 지원하고, 시민과 IoT가 만드는 빅데이터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저비용 고효율의 가치를, 사회적인 측면에서 민주주의의 가치를 제공한다.
 

스마트시티는 유행일까?

한국에서는 유시티에서 스마트시티로 넘어오면서 저탄소 녹색도시와 창조 도시론이 등장했다. 정권이 바뀌면서 정부는 정책적 변화를 맞았다. 이 과정에서 갑론을박하기도 했다. “유시티는 끝났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저탄소 녹색도시로 가야 한다”, “창조 도시로 가야 한다”. 정책기조는 유시티가 폐기되는 수순을 밟았다. 재정 투자 방향도 변했다. 이때 유시티를 연구하고 추진했던 사람들의 핵심 논쟁은 “이 또한 유행이다. 유시티는 생명을 다했다” 혹은 “이름이 바뀌어도 유시티는 계속 간다”였다. 유시티의 지속 가능성에 관한 논쟁인 셈이다. 우여곡절 끝에 스마트시티는 유시티를 이어갔다. 그렇다면 지금의 스마트시티는 유행일까?

역사를 보면 스마트시티는 유행 같기도 하다. 시기에 따라 이름이 바뀌었다. 1978년에는 마틴 도지의 ‘버추얼시티(Virtual City)’로, 1987년에는 햅워스의 ‘인포메이션시티(Information City)’와 더턴 등의 ‘와이어드시티(Wired City)’로, 1989년에는 나이트의 ‘지식기반도시(Knowledge Based City)’로, 1991년에는 파시의 ‘텔레시티(Telecity)’로, 1992년에는 라테레시의 ‘인텔리전트시티(Intelligent City)’로, 1993년에는 배튼의 ‘네트워크시티(Network City)’로, 1994년에는 본 슈베르의 ‘사이버빌(Cyberville)’로, 1995년에는 미첼의 ‘비트 도시(City of Bit)’로, 1996년에는 마크 와이저의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으로, 2003년에는 한국의 ‘유비쿼터스시티(Ubiquitous City)’로, 그리고 지금은 ‘스마트시티’로 불린다.

세계적인 ‘닷컴(.com) 버블’ 현상에 비추어볼 때 유시티는 유행일 가능성이 컸다. 1995년 넷스케이프가 기업공개(IPO)에 성공하면서 850에 달했던 나스닥 지수가 2000년에 5,000을 넘었고, 2002년에 다시 1,300까지 급락했다. 인터넷의 실체를 체감하지 못했고, 닷컴 기업들이 만족스러운 실적을 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국은 두 번의 보수 정부가 집권한 후 다시 진보 정부가 정권을 잡으면서 유시티에서 스마트시티로 이름을 바꾸었다. 세계는 아이폰이 대세가 되면서 손안의 세상 스마트시티가 본격화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행이란 그림자를 지우기에는 의문이 남는다.

스마트시티라고 이름을 바꾸었으니 유행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름이 바뀌었어도 유행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 버추얼시티, 인텔리전트시티, 네트워크시티, 유시티 등 스마트시티의 또 다른 이름의 면면을 보면, 스마트시티의 특징 중 하나가 반영됐음을 알 수 있다. ‘아이폰’이나 ‘갤럭시’처럼 브랜드가 다를 뿐, 유시티의 골간은 바뀌지 않았다. ‘갤럭시 S6’와 ‘갤러시 S10’의 성능 차이가 있는 것처럼, 유시티와 스마트시티의 차이일 뿐이다. 세계는 스마트시티를 주요 정책 어젠다로 삼고 추진한다.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 논의된 4차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2013년 미국의 ‘스마트 아메리카 챌린지’, 2010년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2015년 일본의 ‘로봇 신전략’, 2015년 ‘중국제조 2025’ 등에서 스마트시티를 주요 정책 어젠다로 삼는 걸 보면 스마트시티가 단순한 유행같지는 않다.

스마트시티의 실체가 느껴지고, 기업의 실적이 유행이 아닐 수 있음을 보여준다. 기술을 내건 벤처기업 시장 격인 나스닥 지수가 계속 상승하고 있다. 2002년 1,300이었던 지수가 2015년 5,000을 돌파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폭락하기도 했으나 다시 10,000을 넘어섰다. 나스닥 지수를 고려하는 것도 유행을 판단하는 하나의 지표지만, 주가는 등락이 있으니 단기적인 변동이라 볼 수 있다. 추세로 볼 수는 있어도 유행이 아니라는 증거로 보기는 어렵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주도 기업의 지형을 살펴보자. 세계 1위 국가 미국의 기업 지형이 바뀌고 있다. MATMANG이 주역이다. 정보통신 기술 기반의 유시티나 스마트시티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는 증거가 경제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MATMANG은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차별화된 실적으로 답한다. 산업혁명으로 치면 방적기 수준이다. 앞으로 더 큰 새로운 혁신 기업이 줄을 이을 것이다.

한국에서도 네이버, 쿠팡, 카카오,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등과 같은 BBIG(바이오, 밧데리, 인터넷, 게임) 기업이 성장하고 있다. 안타깝지만 10년이라는 유시티 공백기를 거치면서 블루오션의 개척자라는 지위를 내려놓고, 다시 패스트팔로어(Fast Follower)의 위치에서 스마트시티를 추격 중이다. 그러나 다시 정부가 바뀌면 스마트시티가 폐기될까 봐 걱정을 놓을 수 없다. 이는 스마트시티 관련 연구가 정부 주도에서 민간기업 주도로 전환되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연구의 자주성 확보와 창조성과 독창성에 기반한 시행착오를 두려워하지 않는 블루오션 개척자의 자세를 견지하고, 지속 가능한 스마트시티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스마트시티는 이제 단순한 유행의 수준을 넘어섰다. 다만 초기 버전이다. 도시문제 해결의 측면에서 스마트시티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스마트시티에 열광하는 이유로 삼고 있다. 정책 또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나 기존의 산업 생태계를 대체하는 수준에 도달했다. 정보고속도로라는 미래 인프라 구축에서 시작된 스마트시티가 이를 이용할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일자리 창출과 신산업 성장을 포괄하는 스마트시티 전략으로 변화하고 있다. 세계는 이러한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시문제 해결에서 나아가 일자리와 경제 전쟁으로 치닫고 있다.

반응형

댓글